2025 종교인 종합소득세 신고와 근로장려금 신청 총정리! 신고 대상부터 신청 방법까지 쉽게 이해하기
2018년부터 종교인의 소득도 과세 대상에 포함되면서, 매년 5월은 종교인에게도 중요한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종교인 분들이 신고 의무, 신고 방법, 근로장려금 신청 가능 여부에 대해 혼동을 겪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세청 자료를 기반으로 종교인의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과 근로장려금 신청 조건을 정리했습니다.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안내드리니, 꼭 참고하시고 기한 내에 신고 및 신청을 완료하시기 바랍니다.
📌 2025 종교인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은 5월 1일(목)부터 5월 31일(토)까지입니다. 종교인도 다른 개인과 동일하게 이 기간 내에 홈택스 또는 관할 세무서를 통해 신고해야 합니다.
국세청은 매년 4월 말부터 종교인 대상 사전 안내문을 발송하며, 종교인이 ‘종교단체로부터 지급받은 사례금’을 어떻게 신고할지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 종교인의 과세 대상 소득이란?
과세 대상 소득은 종교단체로부터 받은 사례금·생활비·사택 제공 등 모든 급여성 급부입니다. 이를 국세청은 ‘종교인 소득’으로 분류하고, 기타소득 또는 근로소득 중 선택하여 신고할 수 있도록 합니다.
- 기타 소득 선택 시: 필요경비율 80% 적용 (단순 경비 처리)
- 근로소득 선택 시: 근로자처럼 근로소득공제, 인적공제 등 공제 가능
대부분의 종교인은 기타 소득 방식을 선택하며, 경우에 따라 단순경비율 또는 기준경비율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종교인도 근로장려금 신청 가능할까?
네, 종교인도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근로장려금(근로소득자용) 또는 자녀장려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종교인을 근로소득자로 신고한 경우에만 근로장려금 신청 대상이 됩니다.
기타 소득자로 신고한 종교인은 근로소득 요건을 충족하지 않아 근로장려금 대상에서 제외되며, 자녀장려금도 소득·재산 요건을 충족해야 가능합니다.
📍 2025 근로장려금 신청 요건 요약
- 소득 요건: 단독가구 기준 연 소득 2,200만 원 이하
- 재산 요건: 가구 총 재산 2억 4천만원 이하
- 근로소득자 신고: 종교인이 '근로소득'으로 소득세 신고해야 대상 포함
📅 신청 기간:
2025년 5월 1일 ~ 5월 31일 (종합소득세 신고기간과 동일)
홈택스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으며, 국세청에서 맞춤형 안내문을 발송받은 경우 ‘안내 대상자’로 쉽게 신청이 가능합니다.
1.과세 방법 선택 주의: 기타 소득 vs 근로소득에 따라 장려금 수급 여부 달라짐
2.소득 누락 금지: 국세청이 단체 지급자료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누락 시 불이익 발
3.장려금 수급 희망 시: 종교단체에 ‘근로소득 신고 요청’ 필요
마무리 요약
2025년에도 종교인은 다른 직종과 마찬가지로 정확한 소득신고가 중요합니다. 특히 근로장려금 신청을 원한다면 소득 유형 선택이 결정적입니다.
종교 활동은 사역이지만, 세법상으로는 ‘경제활동’으로 분류됩니다. 국세청의 신고 가이드와 홈택스 자료를 통해 정확하게 신고하고, 지원 가능한 정부 혜택도 함께 챙기시길 바랍니다.
🔎 관련 키워드: 종교인 종합소득세, 종교인 소득 신고 방법, 종교인 근로장려금, 국세청 종교인 세금, 홈택스 소득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