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최저신용자 정책대출 1조 확대… 저신용자는 외면받나?
내년부터 달라지는 햇살론 구조, 저신용·저소득자는 어떻게 되나?
정부가 2025년부터 서민금융 정책 상품의 구조를 개편하면서, 최저신용자 정책대출 공급액은 1조 1100억 원 증가한 반면, 저신용·저소득자를 위한 일반 보증 상품은 1조 1600억 원 축소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최저신용자에게 자금을 집중 지원하겠다는 정책 변화로, 서민금융 진입 사다리가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커지고 있습니다.
햇살론 개편, 2025년부터 어떻게 달라지나?
2025년 1월부터 기존 햇살론 상품은 다음과 같이 통합됩니다.
항목 2024년까지 2025년부터
특례보증 | 햇살론15, 최저신용자 특례보증 | 햇살론 특례보증 (통합) |
일반보증 | 햇살론뱅크, 근로자 햇살론 | 햇살론 일반보증 (통합) |
햇살론 특례보증은 신용 하위 20% 이하, 연소득 3,500만 원 이하의 최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하며, 고금리 대출을 대체할 수 있는 정책상품입니다.
정책 방향은 '최저신용자 몰아주기'
올해 기준 햇살론 특례보증 공급 목표는 1조 2200억 원이었지만, 2025년에는 2조 3300억 원으로 무려 1조 1100억 원 확대됩니다.
반면, 저신용·저소득층을 위한 햇살론 일반보증 공급 목표는 4조 5300억 원 → 3조 3700억 원으로 1조 1600억 원 축소됩니다.
이는 정책 서민금융 전체 규모의 변동이 아닌, 구성의 변화입니다. 즉, 지원 대상을 좁혀 최저신용자 중심으로 집중 배분하겠다는 의미입니다.
햇살론뱅크의 역할 축소, 징검다리 사라질까?
햇살론뱅크는 과거 성실상환자를 대상으로 한 **‘징검다리 금융상품’**으로, 제도권 금융으로의 유입을 돕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상품명 평균 금리 역할
햇살론뱅크 | 4.7~8.2% | 제도권 금융 진입 유도 |
카드론 | 13~15% | 비상금 용도 고금리 대출 |
하지만 햇살론 일반보증 축소로 이 징검다리 기능은 약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단순히 통계상 '최저신용자 지원' 확대처럼 보일 수 있으나, 저신용자들의 회복 및 자립을 위한 통로가 좁아질 수 있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습니다.
서민금융 구조 변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
금융당국은 "민간 금융이 중저신용자 지원을 담당하고, 정책금융은 민간이 감당하지 못하는 최저신용자를 지원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 민간 금융권은 여전히 신용 등급이 낮은 이들에 대한 대출을 꺼리는 구조이며, 정부 보증 없이는 제도권 금융 접근 자체가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왜 저신용자 정책대출 축소가 문제인가?
- 중간 사다리 상실
최저신용자는 물론 중요하지만, 성실히 상환하고 신용을 회복해 나가는 저신용자들에게 제도권 진입 사다리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 민간의 역할 과신
민간 금융이 저신용자까지 포용하기엔 아직 한계가 뚜렷하며, 보증 없이는 실질적인 금융서비스가 어렵습니다. - 재도약 기회 박탈
정책 금융 축소는 결국 재기 의지를 꺾고, 다시 고금리 대출로 내몰리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향후 대책은? 서민금융 지속 가능성 확보가 핵심
정부는 단기적 수치 개선이 아닌, 서민금융의 지속 가능성과 사다리 구조 유지에 방점을 두어야 합니다.
정책대출의 존재 이유는 단순한 '퍼주기'가 아니라 금융소외계층의 회복을 위한 시스템적 지원입니다.
블루칼라 요약 카드: 2025년 햇살론 개편 핵심
구분 내용
특례보증 확대 | 최저신용자 대상 2.3조원 지원 확대 |
일반보증 축소 | 저신용·저소득 대상 1.2조원 감액 |
정책 변화 방향 | 민간 금융의 역할 확대, 공적 지원 집중화 |
우려점 | 제도권 진입 사다리 붕괴 가능성 |
실질적 제도 개선이 필요한 시점
지금 필요한 건 '몰아주기'가 아니라, 맞춤형 정책 설계입니다.
신용 회복 중인 계층, 취약하지만 노력 중인 계층을 위한 금융징검다리 역할이 사라지면,
궁극적으로 최저신용자 수 자체가 늘어나는 악순환이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